본문 바로가기

생활정보

희망키움통장 자격조건 및 신청방법

안녕하세요

오늘은 희망키움통장 자격조건 및 내용에 대해 알려드릴려고해요

 

희망키움통장의 유형은 총 3가지로 중위소득에 따라 나뉘는 희망키움통장 유형1, 희망키움통장 유형2가 있으며 청년들을 대상으로하는 청년희망키움통장이 있습니다

희망키움통장이란 3가지 유형을 모두 총 틀어 쉽게 이야기하자면 열심히 일은 하지만 생계가 어려운 분들에게 목돈마련의 기회를 주는 보건복지부사업이예요

현재 2022년 1월 28일 기준으로 신규가입이 중단 된 상태이며, 2022년 신규가입 일정은 아직 발표되지 않았습니다

 

그럼 이렇게 3종류의 희망키움통장 자격조건 및 혜택과 신청방법 자세히 알려드릴게요

 

 

희망키움통장 자격조건 및 내용 (유형1)       

 

희망키움통장 자격조건 유형1은 아래의 2가지 사항을 충족하여야 합니다

 

  • 신청 당시 가구 전체의 총 근로, 사업 소득이 기준 중위소득 40%의 60%이상인 생계의료수급 가구
  • 가입일 현재 근로활동을 하고 있는 가구 (1가구당 1회 지원가능)

단, 유사자산형성지원사업 또는 과거 이러한 사업의 혜택을 받은 경우는 신청할 수 없습니다

 

 

희망키움통장 자격조건 유형1의 40%의60%이상의 중위소득에 대해 알려드리겠습니다

2022년의 중위소득을 기준으로 희망키움통장 자격조건 유형1의 중위소득 40%의 60%이상의 금액이란 말그대로 중위소득 40%에 해당하는 가구중 60%이상의 소득이 있는 가구를 이야기합니다

최소한의 근로활동을 하는 가구에게 지원하는 복지사업이라 소득이 너무 적거나 없으면 안됩니다

 

1인 가구로 예를 들자면 중위소득 40%는 731,132원이며, 소득액이 이 금액의 60% 이상인 402,122원 이상이어야 합니다

 

즉, 2022년 1인 가구 기준 희망키움통장 자격조건 유형1의 중위소득은 402,122원 이상이어야 신청이 가능합니다

 

희망키움통장 자격조건 부합하여 가입을 한다면 받는 혜택은 가입자가 가입한 적금 금액과 연 3.30% 고정금리, 근로소득장려금이 매달 적금이됩니다

근로소득장려금은 정부의 자활사업안내를 기준으로 월 평균 31만6천원의 지원금이 적립되고 최대 53만8천원 까지 적립받는 것으로 알려져있습니다

 

희망키움통장 유형1의 가입기간은 3년으로 만기시 일시 지급하는 방식이며, 가입금액은 5만원 또는 10만원입니다

 

적립된 금액은 3년 이내 생겨,의료급여 수급자에서 벗어나는 경우에 한하여 지급되며, 지급 조건 미충족 시 본인 저축액과 이자만 지급됩니다

 

가입기간 중 근로,사업소득이 6개월 연속 소득 하한 미달한 경우 또는 본인 저축액을 연속 6개월 미납한 경우, 본인 사망 후 가구원 환수해지 요청 시 압류, 가압류, 사용용도 미증빙, 본인 요청 시 환수해지됩니다

 

가입 기간 중 탈수급하였더라도 소득상한 이내에서는 최대 근로소득장려금 적립이 가능하며 단, 최근 3개월 평균 소득상한 초과시 전월까지 적립된 금액이 모두 지급되고 사업이 종료됩니다

 

모집기간은 앞서 말씀드렸다시피 추후 모집공고를 기다리셔야 합니다

 

 

희망키움통장 유형1의 신청방법은 온라인 신청을 불가하며 본인 거주지 읍면동 주민센터에서 가능합니다

 

자세한 희망키움통장 유형1의 가입문의는 시군구, 읍면동 주민센터로 문의하시면 빠른 안내 받아볼 수 있습니다

 

 

 

희망키움통장 자격조건 및 내용 (유형2)       

희망키움통장 자격조건 유형2은 아래의 2가지 사항을 충족하여야 합니다

 

  • 신청 다시 가구 전체의 근로,사업 소득이 기준 중위소득 50% 이하인 주거,교육수급 가구 및 차상위 계층 가구
  • 가입일 현재 근로활동을 하고있는 가구 (1가구당 1회 지원가능)

단, 유사자산형성지원사업 또는 과거 이러한 사업의 혜택을 받은 경우는 신청할 수 없습니다

 

 

희망키움통장 자격조건 유형2의 50% 이하의 중위소득에 대해 알려드리겠습니다

 

2022년의 중위소득을 기준으로 희망키움통장 자격조건 유형1의 중위소득 50% 이하의 금액은 1인 가구 기준으로 913,916원 입니다

 

즉, 2022년 1인 가구 기준 희망키움통장 자격조건 유형2의 중위소득은 913,916원 이하이어야 신청이 가능합니다

 

희망키움통장 자격조건 부합하여 가입을 한다면 받는 혜택은 유형1과 흡사합니다

가입자가 가입한 적금 금액과 연 3.30% 고정금리, 근로소득장려금이 매달 적금이됩니다

 

근로소득장려금은 정부의 자활사업안내를 기준으로 앞서 말씀드렸다 시피 월 평균 31만6천원의 지원금이 적립되고 최대 53만8천원 까지 적립받는 것으로 알려져있습니다

 

희망키움통장 유형2의 가입기간은 3년으로 만기시 일시 지급하는 방식이며, 가입금액은 10만원입니다

 

적립된 금액은 3년간 통장유지를 해야하며 교육이수 및 사례관리상담, 사용용도 증빙 50%이상 안료에 한하여 지급되며지급 조건 미충족 시 본인 저축액과 이자만 지급됩니다

 

가입 기간 중 근로활동이 없는 가구로 확인 될 경우 본인 또는 본인 저축액을 연속 6개월 미납한 경우, 교육이수 및 사례관리상담 기준 미달인 경우, 압류, 가압류, 본인 사망 후 가구언 한수해지 요청 시, 가입가구 생계의료 수급자 책정 시, 사용용도 미증빙, 본인 요청 시 환수해지 됩니다

 

정기 또는 타 보장급여 확인 조사를 통해 총 가구 근로사업소득이 기준 중위소득 70% 초과시 확인 조사일 전월까지 적립된 금액 모두 지급하고 사업이 종료됩니다

 

모집기간은 앞서 말씀드렸다시피 추후 모집공고를 기다리셔야 합니다

 

 

 

희망키움통장 유형2의 신청방법은 온라인 신청을 불가하며 본인 거주지 읍면동 주민센터에서 가능합니다

 

자세한 희망키움통장 유형2의 가입문의는 시군구, 읍면동 주민센터로 문의하시면 빠른 안내 받아볼 수 있습니다

 

 

 

희망키움통장 자격조건 및 내용 (청년)       

희망키움통장 자격조건 청년은 아래의 2가지 사항을 충족하여야 합니다

 

  • 소득인정액이 기준 중위소득 30% 이하인 생계수급 가구의 청년 (만 15세 이상 39세 이하)
  • 가입일 현재 근로활동을 하고 있는 가구 (청년 개인의 가입기준 충족 시, 타 가구원 가입 여부와 관계없이 가입가능)

단, 유사자산형성지원사업 또는 과거 이러한 사업의 혜택을 받은 경우는 신청할 수 없습니다

 

희망키움통장 자격조건 청년의 30% 이하의 중위소득에 대해 알려드리겠습니다

 

2022년의 중위소득을 기준으로 희망키움통장 자격조건 청년의 중위소득 30% 이하의 금액은 1인 가구 기준으로 548,349원 입니다

 

즉, 2022년 1인 가구 기준 희망키움통장 자격조건 청년의 중위소득은 548,349원 이하이어야 신청이 가능합니다

 

 

청년 희망키움통장 자격조건 부합하여 가입을 한다면 받는 혜택은 가입자가 가입한 적금 금액과 근로소득장려금이 매달 청년희망키움 통장으로 적금이됩니다

 

근로소득장려금은 정부의 자활사업안내를 기준으로 앞서 말씀드렸다 시피 월 평균 31만6천원의 지원금이 적립되고 최대 53만8천원 까지 적립받는 것으로 알려져있습니다

 

청년희망키움통장의 가입기간은 3년으로 만기시 일시 지급하는 방식이며, 본인적금 납입 의무는 없으며 매월 최대 50만원까지 자유 납입이 가능합니다

 

본인 적금계좌 개설이 필수입니다

 

적립된 금액은 3년 이내 생계급여 수급자에서 벗어나는 경우에 지급되며, 기압 기간 동안 근로사업소득이 발생하였으나 만기 후 3개월 유예기간 내 탈수급하지 못한 경우 1회에 한해 만기 성공금 지급가능합니다

 

가입 기간 중 근로사업소득 6개월 연속 미발생, 본인사망, 압류, 가압류, 사용용도 미증빙, 본이 요청 시 지원금 지원 불가 및 환수 해지됩니다

 

가입 기간 중 군 입대로 인해 통장 유지가 불가한 경우 24개월간 적립 중지 가능합니다

 

가입기간 중 탈수급하였더라도 소득상한 이내에서는 유지가 가능하며 단, 최근 3개월 평균 소득상한 초과시 전월까지 적립된 금액이 모두 지급되고 사업이 종료됩니다 

 

모집기간은 앞서 말씀드렸다시피 추후 모집공고를 기다리셔야 합니다

 

 

청년 희망키움통장의 신청방법은 온라인 신청을 불가하며 본인 거주지 읍면동 주민센터에서 가능합니다

 

자세한 청년희망키움통장의 가입문의는 시군구, 읍면동 주민센터로 문의하시면 빠른 안내 받아볼 수 있습니다

 

이렇게 3가지 유형의 희망키움통장 자격조건 및 내용에 대해 알아보았습니다

 

3가지 유형 중 희망키움통장 자격조건 부합한다면 가입공고를 눈여겨 보았다가 꼭 신청하시어 혜택을 받으시길 바랍니다